본문 바로가기
국내 경제

배추·무 가격 급등, 정부의 수급 안정화 전략은?

by inforecent 2025. 3. 7.
반응형

 

 

배추·무 수급 안정 방안
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경제관계차관회의 및 물가관계차관회의, 민생경제점검TF 회의에서 최근 배추와 무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'배추·무 수급 안정 방안'을 발표했다.



🌱 배추·무 가격 변동

  • 겨울 배추와 무 생산량 이상 기후 영향으로 각각 13.3%, 21.4% 감소
  • 2월 하순 배추 도매가격 71.7% 상승, 무 도매가격 153.2% 상승
  • 배추 소매가격 36.9% 상승, 무 소매가격 81.1% 상승
  • 봄배추와 봄무 출하 전까지 높은 가격 지속 예상

 

🍠 정부 대응

  • 배추, 무 할인 행사 지원 기간 1개월 연장
  • 대체 품목(봄동, 얼갈이, 열무, 시금치) 할인 행사 지원
  • 비축 농산물 공급 확대: 배추 2,600t, 무 500t 도매시장 공급
  • 직수입 물량 200~500t 주 단위로 도매시장 공급, 필요 시 가공업체와 식자재 마트에 공급
  • 배추, 무에 할당관세 적용해 민간 수입 유도

 

💰 계약재배 확대

  • 봄배추, 봄무 농협 계약재배 물량 30~45% 확대
  • 배추 7,000t, 무 1,000t 추가 계약재배
  • 농가 지원: 모종 및 약제비 제공

 

🌾 수매 확대

  • 배추, 무 수매량 50% 확대
  • 봄배추 비축량 15,000t, 봄무 비축량 7,500t으로 증가
  • 5~7월 수매 진행, 사전 계약 후 물량 확보

 

📈 배추·무 가격 상승 영향

  • 가격 상승으로 서민 가계 부담 증가
  • 물가 상승 압박, 경기 침체 우려, 소비자 신뢰도 하락
  • 채소값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침

 

📊 향후 대응 전략

  • 정부, 비축물량 공급 확대 및 민간 수입 유도
  • 계약재배 확대, 농가 지원을 통한 공급 안정화
  • 시장 상황에 따라 수급 안정화 방안 지속적으로 조정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