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배추·무 수급 안정 방안
농림축산식품부는 7일 경제관계차관회의 및 물가관계차관회의, 민생경제점검TF 회의에서 최근 배추와 무 가격 상승에 대응하기 위한 '배추·무 수급 안정 방안'을 발표했다.
🌱 배추·무 가격 변동
- 겨울 배추와 무 생산량 이상 기후 영향으로 각각 13.3%, 21.4% 감소
- 2월 하순 배추 도매가격 71.7% 상승, 무 도매가격 153.2% 상승
- 배추 소매가격 36.9% 상승, 무 소매가격 81.1% 상승
- 봄배추와 봄무 출하 전까지 높은 가격 지속 예상
🍠 정부 대응
- 배추, 무 할인 행사 지원 기간 1개월 연장
- 대체 품목(봄동, 얼갈이, 열무, 시금치) 할인 행사 지원
- 비축 농산물 공급 확대: 배추 2,600t, 무 500t 도매시장 공급
- 직수입 물량 200~500t 주 단위로 도매시장 공급, 필요 시 가공업체와 식자재 마트에 공급
- 배추, 무에 할당관세 적용해 민간 수입 유도
💰 계약재배 확대
- 봄배추, 봄무 농협 계약재배 물량 30~45% 확대
- 배추 7,000t, 무 1,000t 추가 계약재배
- 농가 지원: 모종 및 약제비 제공
🌾 수매 확대
- 배추, 무 수매량 50% 확대
- 봄배추 비축량 15,000t, 봄무 비축량 7,500t으로 증가
- 5~7월 수매 진행, 사전 계약 후 물량 확보
📈 배추·무 가격 상승 영향
- 가격 상승으로 서민 가계 부담 증가
- 물가 상승 압박, 경기 침체 우려, 소비자 신뢰도 하락
- 채소값 상승이 전반적인 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침
📊 향후 대응 전략
- 정부, 비축물량 공급 확대 및 민간 수입 유도
- 계약재배 확대, 농가 지원을 통한 공급 안정화
- 시장 상황에 따라 수급 안정화 방안 지속적으로 조정
반응형
'국내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금융위원회 발표: 예금 보호 한도 2배 증가, 내 예금은 어떻게 될까? (8) | 2025.03.16 |
---|---|
📌MBK, 홈플러스 기업회생.. 사모펀드 경영 방식 괜찮은가? (33) | 2025.03.07 |
📉 2025년 2월, 한국 외환보유액 17억 달러 감소…환율 불안정성 우려 (17) | 2025.03.07 |
통계청, 2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(24) | 2025.03.05 |
1인당 국민소득 1.2% 증가... 소폭 반등 (4) | 2025.03.0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