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글로벌 경제

🏛️ 美, 캐나다·멕시코·중국에 25%,25%,20% 관세 초강수!

by inforecent 2025. 3. 4.
반응형

 

ⓒ ChatGPT(DALL·E) 생성 이미지

💰 대미 수출국 대상 추가 관세 부과

미국 정부는 3월 4일부터 캐나다·멕시코산 제품에 25% 관세를 부과하고, 중국산 제품에는 기존 10% 관세에 추가로 10%를 더 부과하기로 결정했다.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가능성을 배제하고, 미국 내 공장 건설을 해결책으로 제시했다.

 

📉 시장 반응 및 기업 우려

발표 이후 미국 증시는 하락세를 보였다. 자동차 업계를 비롯한 주요 산업 관계자들은 정부 회의에서 우려를 전달했으나, 행정부는 기존 방침을 유지했다.

🌍 국가별 대미 수출 주요 품목 및 대표 기업

🇨🇦 캐나다

  • 🚗 자동차 및 부품 – 미국 자동차 산업과 긴밀한 공급망 형성
    • 대표 기업: Magna International(마그나 인터내셔널), Linamar(리나마)
  • 🛢️ 석유 및 천연가스 – 미국 내 에너지 수요 충족
    • 대표 기업: Suncor Energy(선코어 에너지), Enbridge(엔브리지)
  • 🌾 농산물(밀·대두 등) – 식품·가축 사료 원료 공급
    • 대표 기업: Richardson International(리처드슨 인터내셔널), Viterra(비테라)

🇲🇽 멕시코

  • 🚙 자동차 및 전자제품 – 미국 시장 내 저비용 생산 기반 구축
    • 대표 기업: Nissan Mexico(닛산 멕시코), Volkswagen Mexico(폭스바겐 멕시코)
  • 🍅 농산물(토마토·아보카도 등) – 미국 식품 시장의 주요 공급원
    • 대표 기업: Grupo Bimbo(그루포 빔보), Mission Produce(미션 프로듀스)
  • 🏭 산업용 기계 및 부품 – 제조업 공급망 핵심 요소
    • 대표 기업: Cemex(세멕스), Metalsa(메탈사)

🇨🇳 중국

  • 📱 전자제품(스마트폰·반도체 등) – 글로벌 IT 산업 중심 공급망 역할
    • 대표 기업: Foxconn(폭스콘), Lenovo(레노버), SMIC(중신궈지)
  • 👕 섬유 및 의류 – 미국 소비 시장 내 대량 공급
    • 대표 기업: Shein(쉬인), Bosideng(보스덩)
  • 🏗️ 철강 및 건축자재 – 인프라 및 건설 산업에 필수적 요소
    • 대표 기업: Baowu Steel(바오우 철강), CNBM(중국건축재료그룹)

 

💰 경제적 영향

무역 분석 기관에 따르면, 중국산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로 미국 정부의 연간 관세 수입은 약 860억 달러(약 114조 원)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. 이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의 전체 관세 수입을 초과하는 규모다.

 

⚖️ 인플레이션 및 경제 전망

백악관 경제위원회 일부 관계자들은 관세가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가능성을 우려했으나, 행정부는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.
 
 

🏢 대한민국의 반사 이익 및 관세 피해

✅ 반사 이익 품목 및 대표 기업

미국이 중국·멕시코·캐나다산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, 한국산 제품이 대체재로 부상할 가능성이 크다.

  • 🖥️ 반도체 및 전자제품 – 대중국 의존도를 낮추려는 미국 기업들의 수요 증가
    • 대표 기업: Samsung Electronics(삼성전자), SK Hynix(SK하이닉스), LG Electronics(LG전자)
  • 🚗 자동차 및 배터리 – 중국산 전기차 배터리 견제 속 한국산 배터리 채택 가능성 상승
    • 대표 기업: Hyundai Motor(현대자동차), LG Energy Solution(LG에너지솔루션), Samsung SDI(삼성SDI)
  • 🏗️ 철강 및 건설자재 – 중국 철강 제품에 대한 추가 관세로 한국산 제품의 대미 수출 확대 기대
    • 대표 기업: POSCO(포스코), Hyundai Steel(현대제철)

❌ 관세 피해 품목 및 대표 기업

반대로, 미국이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를 확대할 경우 한국 기업들도 타격을 받을 수 있다.

  • 🏭 자동차 및 부품 – 멕시코 공장에서 생산하는 한국산 자동차 및 부품의 대미 수출 비용 증가 가능성
    • 대표 기업: Hyundai Motor(현대자동차), Kia(기아), Mobis(현대모비스)
  • 🛠️ 기계 및 산업장비 – 미국 제조업 보호 정책으로 인해 일부 품목의 수입 규제 가능성
    • 대표 기업: Doosan Bobcat(두산밥캣), Hyundai Doosan Infracore(현대두산인프라코어)
  • 👕 의류 및 섬유 – 중국산 제품과 함께 한국산 제품도 관세 영향을 받을 가능성
    • 대표 기업: LF(엘에프), Youngone(영원무역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