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📢 2025년 2월 7일 파월 연준 의장 연설 요약
📅 일시: 2025년 2월 7일 (미국 시간)
📍 장소: 뉴욕, 시카고대학교 부스 경영대학원
🎤 연설자: 제롬 H. 파월 연준 의장
📌 행사: 2025년 미국 통화정책 포럼
📈 미국 경제 현황
- GDP는 2024년 4분기에 2.3% 성장, 소비지출이 주요 동력
- 최근 소비지출 증가세 둔화 가능성, 경제 불확실성 증가
- 가계 및 기업 신뢰지수는 예측력이 낮아 다양한 지표를 모니터링 중
👷♂️ 노동시장
- 2월 15.1만 개 신규 일자리 창출, 실업률 4.1%
- 최근 5개월 평균 19.1만 개 일자리 증가
- 노동 수요-공급 균형 개선, 임금 상승세 완화 → 인플레이션 압력 줄어듦
📊 인플레이션
- 2022년 중반 7% 이상에서 최근 2.5% (총 PCE 기준) 로 하락
- 주택 서비스·비주택 서비스 부문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
- 단기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, 주요 원인은 관세 정책 변화
- 장기 기대 인플레이션은 연준 목표(2%)와 대체로 일치
💰 통화정책 방향
- 무리한 금리 인하 자제, 경제·인플레이션 동향 지켜볼 계획
- 신정부 정책 변화(무역·이민·재정·규제) 가 경제에 미칠 영향 분석 중
- 필요시 정책 조정 가능 → 인플레이션 둔화 시 금리 인하, 고물가 지속 시 금리 유지
- 🏦 금리 정책 유연성 강조: 정책은 사전 결정된 경로가 없으며, 경제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될 것
🌎 국제적 영향 고려
- 새로운 무역 정책 변화(특히 관세) 가 인플레이션 및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 중
🔍 향후 정책 프레임워크 검토
- 연준의 정책 전략 5년 재검토 진행 중
- 2% 인플레이션 목표는 유지, 정책 수정 가능성 있음
- 공개 토론 및 연구 컨퍼런스(5월) 개최 예정, 여름까지 검토 완료 목표
- 📢 대중 의견 수렴 계획: "Fed Listens" 같은 공개 토론을 통해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
🎤 결론: 연준은 경제 지표를 면밀히 분석하며 신중한 정책 운용을 지속할 계획. 예측 불확실성이 높아 신속한 정책 전환보다 명확한 데이터 확인이 중요.
반응형
'글로벌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🌏 중국의 경제 대전략 & 왕이의 대미 경고… 글로벌 시장 영향은? (21) | 2025.03.10 |
---|---|
한미·미일 방위비 분담금, 트럼프의 경제적 카드? (24) | 2025.03.09 |
유럽의 재무장 8000억 유로 증액 ! "미국 없이 홀로서기 하는 EU" (18) | 2025.03.06 |
미국 에너지 패권의 핵심? 알래스카 천연가스 개발 (4) | 2025.03.06 |
“관세·국경·군사력, 모든 걸 재건하겠다” – 트럼프, 2기 첫 상하원 연설 요약 (6) | 2025.03.05 |